연말정산 환급금이 드디어 입금되었습니다.
1월 말에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신고했을 때 차감 징수액이 -164,760원이 나왔었는데 그 금액이 이번 달 월급일에 그대로 입금되었습니다.
연말정산 환급금 지급시기는 회사마다 다른데 저희 회사의 경우 작년에는 3월, 올해는 4월에 입금되었습니다.
2021년 귀속 연말정산 방법과 소득공제, 세액공제 항목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작년에 연금저축펀드 190만 원을 납입한 덕분에 조금이나마 소득세를 환급받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통해 매수한 차이나 항셍 테크 ETF가 고점 대비 1/3 토막이 나서... 또르르..
월급명세서를 자세히 확인하다 보니 소득세가 3월보다 10만 원 이상 추가로 공제되어 있습니다. 10만 원 초반에서 20만 원 초반으로 훅 늘어나 있었어요.
연말정산 환급금을 받으면 뭐하나요. 소득세를 그만큼 더 떼어가는데...
그래도 갑자기 이렇게 늘어난 것이 이상해서 홈텍스에서 예상소득세 계산을 해봤습니다.
홈텍스 홈페이지에서 조회발급-기타조회-간이세액표-근로소득간이세액표 탭에 들어가면 소득세 계산을 해 볼 수 있습니다.
세금 포함 월급여액과 공제 가족 수를 입력한 뒤 조회하기 버튼을 누르면 소득세가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저는 원천징수세율을 100%로 선택해뒀기 때문에 그 자료로 보면 되는데 아무래도 제 월급에 비해 소득세가 많이 나왔습니다. 어차피 연말정산을 통해서 환급받을 수는 있지만 다음 달에도 이렇게 많이 나오면 급여 담당자에게 한번 물어봐야겠습니다.
오늘은 연말정산 환급금 입금 이야기와 홈텍스에서 근로소득세 확인하는 방법을 적어보았는데 읽고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재테크 > 세금·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세] 위택스에서 신용카드로 납부하기(세액 계산방법, 잊지말고 연납신청) (0) | 2023.12.27 |
---|---|
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 신한카드로 납부하고 캐시백 받기(세금 카드납부 혜택) (0) | 2023.07.21 |
연말정산 하는 방법(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미리보기 서비스와 차이) (0) | 2022.01.24 |
연금저축펀드 이용해 연말정산 환급받기(세제혜택, 주의사항, 1년 운용결과) (0) | 2021.12.15 |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해보기(변경사항, 이용절차, 절세방법) (0) | 2021.12.05 |